
지난 25일 서울의 최저기온 영하 17.3도는 기상 관측이 시작 된 1973년 이후 9번째로 낮은 기온이었던것으로 나타났다.
기상청은 28일 기상자료개방포털을 통해 25일 서울 기온을 공개했다. 이 날 기온은 오전 2시경 영하 17.3도까지 내려가 1973년 이래 9번째로 낮은 서울의 최저기온을 기록했다. 1973년은 기상청이 전국 단위 기상 관측망을 갖춘 해다.
관측 후 지금까지 약 50년 간 서울의 역대 최저기온은 19.2도로 지난 1986년 1월 5일 기록이다. 이어 2001년 1월 15일 영하 18.7도를 기록했으며 약 2년 전인 2021년 1월 8일 영하 18.6도를 기록했다.
전국단위 기상 관측망을 갖춘 이후 서울의 최저기온이 한파의 기준인 영하 12도보다 내려간 것은 지난 27일까지 237번 있었다. 영하 17도 이하인 날은 11번 있었는데 이 중 과반인 6번이 2010년 이후 기록됐다.

1980년대 후반 이후 서울 한파 일수는 연간 기준으로 감소 흐름을 나타냈으며 이후 2010년대부터는 변동성이 큰 모습을 보였다. 1980년 이후 2009년까지 열흘을 넘긴 해가 없었으며 2001년 6번이 최다 기록이다. 그 사이 한파 일수가 하루도 없는 해는 여섯 해가 있었다.
2010년 이후부터는 2010년과 2018년이 11번으로 두 자릿수를 넘겼다. 2014년과 2015년에는 한 번씩만 한파일 수를 기록했고 2019년에는 한파일 수가 전무했다.
오재호 부경대 환경대기학과 명예교수는 "지구온난화로 인해 북극의 찬 공기를 묶고 있던 제트기류가 느슨해지면서 한파가 찾아오기도 한다"면서 "온난화가 지속된다면 따뜻해지기도 하고, 반대로 강추위도 발생할 수 있다"라고 밝혔다.
[위키리스크한국=최정미 기자]
prtjami@wikileaks-kr.org